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
업무상 차량을 이용하시는 분들은 업무의 특성이나 화물의 크기, 무게 등에 맞는 차종을 택하는 것부터 신중하게 고민하곤 합니다. 화물의 경우 화물차량 적재함 사이즈에 따라 한번에 운송 가능한 물류량, 무게 등이 달라지는데 개인적으로 일하시거나 소량의 화물배송을 담당하는 경우 1톤트럭을 선택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는 얼마정도 되는지, 다른 화물차량 적재함과 더불어 같이 살펴보겠습니다.
적재함 사이즈 재는법
트럭 적재함은 승용차의 트렁크에 해당하며 길이, 넓이, 탑높이, 바닥높이를 고려하여 측정합니다 길이를 확장한 축거 트럭의 경우 더 많은 화물을 적재할 수 있게 됩니다. 더불어 적재 중량과 부피도 고려하여야 하며 윙바디, 탑차 등 뚜껑이 덮이는 형태의 적재함이라면 윙 내부 높이도 별도 고려하셔야 하겠습니다.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
이제 1톤트럭을 기준으로 화물 차량 종류별 적재함 사이즈를 살펴보겠습니다. 세부 모델에 따라, 축거 여부에 따라 적재함 사이즈는 달라질 수 있으나 대략의 요소는 비슷하므로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 (출처) 전국화물통합콜 홈페이지
먼저 가장 기본적인 형태의 1톤 카고입니다. 널비 1.6m, 길이 2.7~2.85m, 바닥 높이 0.8m, 차량 총 놓이는 2.2m입니다. 1.5톤의 짐을 싣고 나를 수 있으며 부피로는 6cbm의 짐을 적재할 수 있겠습니다. 커버가 없는 형태의 기본적인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입니다.
다음은 윙바디 형태의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입니다. 넓이 1.6m, 길이 2.7~2.85m, 적재함 바닥 높이 0.8m, 적재중량 1.5톤, 적재부피 6cbm으로 카고 용달차와 동일합니다. 단 윙바디 형태이기 때문에 차량 총 높이가 2.5m~2.7m 수준으로 보다 높아집니다. 내부 높이는 1.6~1.8m 수준이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이번에는 탑차 형태의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입니다. 적재함의 형태만 달라진 것이기 때문에 역시 넓이, 적재중량, 적재함 길이, 적재 부피, 바닥 높이는 1톤 카고 차량과 동일합니다. 찰야 총 높이는 2.2~2.5m 수준으로 윙바디에 비해 조금 낮습니다.
이번에는 호루차라고 불리는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입니다. 모든 크기는 앞서 살펴본 1톤트럭들과 동일하나 차량의 총 놓이가 2.5~3m까지 높아집니다. 때문에 높이가 높은 물건, 이를테면 화환이나 조각 등을 안전히 운송할 때 활용되기도 합니다.
리프트 차량도 살펴보겠습니다. 1톤 카고에 리프트가 추가된 형태이기 때문에 기본적인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는 동일합니다.
각 차량의 종류별 특성은 하단에서 다시 소개하겠습니다.
1.4톤 트럭 적재함 사이즈
1톤트럭보다 더 많은 짐을 적재할 수 있는 1.4톤 트럭의 적재함 사이즈도 살펴보겠습니다. 일반적인 형태의 카고트럭은 넓이 1.7m, 길이 2.9~3.1m, 바닥 높이 0.8m의 크기라고 합니다. 2.5톤의 짐을 싣고 나를 수 있으며 부피로는 8cbm으로 환산됩니다.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와 비교했을 때 넓이는 0.1m 넓고 길이는 0.2m 가량 길다고 볼 수 있습니다.
이번에는 1.4톤 윙바디 탑차의 적재함 사이즈입니다. 마찬가지로 기본적인 넓이, 길이는 동일합니다. 차량 총 높이만 다소 높아지는데 2.6~2.8m 수준입니다. 적재중량은 0.5톤 줄어든 2톤입니다.
2.5톤 트럭 적재함 사이즈
다음은 2.5톤 트럭입니다. 적재함 넓이 1.8m, 길이 4.3m, 바닥 높이 1m로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에 비해 넓이는 0.2m 넓고 길이는 1.6m 가량 길고 바닥 높이는 0.2m 가량 높습니다. 덕분에 두 배 이상의 짐을 실을 수 있는데 적재중량 4톤, 적재부피 14cbm입니다.
윙바디 차량은 카고에 비해 적재중량이 0.5톤 가량 줄어들어 3.5톤까지 실어 나를 수 있으며 높이는 3.3m까지 높아집니다. 운송하려는 화물의 특성과 크기를 고려하여 선택하시면 되겠습니다.
3.5톤 트럭 적재함 사이즈
조금 더 큰, 3.5톤 트럭을 계속해서 살펴보겠습니다. 적재함 넓이 2.04m, 길이 4.6m, 바닥 높이 4.6m로 6톤의 짐, 18cbm 크기의 짐을 실을 수 있습니다. 1톤트럭 적재함 사이즈와 비교하면 넓이는 약 0.4m, 길이는 약 1.9m, 높이는 0.2m가량 높은 셈입니다. 3배 이상의 짐을 실을 수 있습니다.
윙바디 차량의 적재함 사이즈도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또한 5톤 이상의 트럭 적재함 사이즈와 제원도 위 출처 사이트에서 개별 확인이 가능하므로 관심있으신 분들은 직접 방문해보시기 바랍니다.
간단히 각 트럭의 규격을 정리한 표는 위와 같은 모습입니다.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화물 차량 종류
간략하게 각 화물차량의 종류도 살펴보겠습니다. 적재함 위에 아무것도 덮이지 않은 기본적인 형태의 카고 트럭은 위와 같은 모습입니다.
마찬가지로 위가 덮여있지는 않지만 트럭 적재함 뒤에 파워게이트가 달려있어 이를 통해 무거운 물건도 들어 올려 실을 수 있는 차량은 리프트 트럭입니다.
마치 새가 날개를 펼치는 것처럼, 적재함 뚜껑이 양측으로 열리는 형태의 트럭은 윙바디트럭입니다. 팔레트에 실려있는 짐을 지게차로 나를 때 사용하면 편리하다고 합니다.
탑차는 윙바디 차량과 달리, 양쪽으로 적재함 문이 열리는 것이 아니라 후면부의 문만 열리는 형태입니다. 택배차량에서 많이 보셨을 겁니다. 이처럼 후면부의 문만 열어서 사용하는 방식이기 때문에 비나 눈이 와도 비교적 영향이 덜합니다.
냉동식품이나 냉장식품 등 신선도가 지켜져야 하는 물품을 배송할때는 냉동탑차가 사용됩니다. 식품 배송 시 흔히 사용되며 차량에 온도기록지가 장착되어 관리할 수 있습니다.
마지막은 위와 같은 형식의, 적재함에 커버가 씌워져있는 화물트럭입니다. 구조물에 커버를 씌운 형태이기 때문에 탑차 등에 비해 기본 무게가 가볍고 비나 눈으로부터 화물을 보호할 수 있어 카고와 탑차의 중간 형태라고 생각할 수 있겠습니다.
이상으로 1톤트럭의 적재함 크기 등을 살펴보았습니다. 차량을 구매하려거나 화물트럭을 이용하시려는 분들에게 도움이 되기를 바랍니다.
'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군인 계급 순서 (0) | 2020.09.27 |
---|---|
귀농 정착지원금 (0) | 2020.09.26 |
농협 벌초대행 가격 (0) | 2020.09.22 |
온라인 성묘 방법 (0) | 2020.09.20 |
예초기 연료 혼합비율 (0) | 2020.09.12 |